NEWS / / 2025. 2. 3. 06:00

AI판 대륙의 실수일까? Open AI 위헙하는 DeepSeek

반응형

1. DeepSeek이란?

DeepSeek은 중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최신 AI 모델을 발표하며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제한된 컴퓨팅 자원으로도 OpenAI의 최신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구현한 점이 핵심입니다.

 

이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 제한으로 인해 엔비디아의 최신 GPU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DeepSeek은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전문가 혼합(Mixture of Experts, MoE)’ 기술을 활용하여 AI 모델 훈련의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제한된 자원에서도 높은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2. DeepSeek의 창립자, 량원펑

DeepSeek의 창립자인 량원펑(梁文锋)은 1985년 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나, 저장대학교에서 전자정보공학을 전공하고 정보통신공학 석사를 취득하였습니다. 그는 해외 유학 경험 없이 중국 내에서 학문과 금융 분야에서 경험을 쌓았으며, 퀀트 헤지펀드인 High-Flyer를 설립하며 금융업계에서 성공을 거둔 후 2023년 AI 산업으로 진출했습니다.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은 누구인가?
량원펑은 딥시크의 연구에 직접 참여하고 있으며 헤지펀드에서 얻은 수익으로 최고 수준의 AI 인재들에게 파격적인 연봉을 지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딥시크는 베이징, 항저우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북경대를 비롯해 칭화대, 북경항공항천대학 등 중국 최고 명문대 출신 박사들로 구성된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틱톡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 함께 중국 내 AI 엔지니어들에게 가장 높은 연봉을 제공하는 기업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량원펑은 지난해 중국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우리 핵심 팀에는 해외 유학파가 없다. 모두 현지 출신이다. 우리는 직접 최고 인재를 길러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의 기업가 정신과 DeepSeek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그는 2025년 중국 고위 지도자 간담회에 초청되며 중국 정부의 AI 육성 전략에서 중요한 인물로 자리 잡았습니다.

 

3. DeepSeek과 글로벌 주식시장 변동

DeepSeek의 AI 모델 발표는 글로벌 기술주에 큰 변동성을 가져왔습니다.

  • 일본 반도체 관련 주식 하락: 엔비디아 공급업체 Advantest Corp.의 주가가 8.6% 하락.
  • 미국 기술주 선물 하락: 중국 AI 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서구 경쟁사들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할 가능성이 제기됨.
  • 중국 및 홍콩 기술주 상승: DeepSeek의 성장 가능성이 중국 AI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상승세.

4. 사람들은 왜 DeepSeek에 열광하는가?

(1) 저비용·고효율 AI 모델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은 누구인가?
개발진에 따르면 딥시크의 챗봇은 제작 비용이 560만 달러(약 75억 원)에 불과하며, 이는 지난해 오픈AI가 챗GPT 개발에 투입한 50억 달러(약 6조 7000억 원)와 비교하면 극히 저렴한 수준이다.

DeepSeek의 AI 모델은 OpenAI와 유사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개발 비용이 1/100 수준에 불과합니다. 이는 AI 기술의 대중화를 앞당길 중요한 요소입니다.

(2) 중국 AI 산업의 빠른 성장

DeepSeek 창립자는 2025년 중국 지도자들과의 간담회에 초청될 정도로 정부 차원의 AI 육성 전략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AI 산업 전반에서 중국의 입지를 더욱 강화시키는 요소입니다.

(3) AI 시장 경쟁 심화

DeepSeek의 등장은 OpenAI, Google DeepMind와 같은 서구 AI 기업들과의 경쟁 구도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으며, AI 기술의 혁신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5. DeepSeek의 성공 요인

  • 효율적인 AI 훈련 기술: MoE(Mixture of Experts) 기술을 활용하여 적은 컴퓨팅 자원으로 강력한 AI 모델 구현.
  • 중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 AI를 국가 전략 기술로 육성하고 있으며, DeepSeek과 같은 유망 스타트업을 지원.
  • 빠른 시장 적응력: 최신 모델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며 글로벌 AI 트렌드에 빠르게 대응.

6. DeepSeek의 위험 요소

  • 서방 국가들의 규제 가능성: 미국은 이미 중국 AI 반도체 공급을 제한하며, 향후 AI 관련 규제를 더욱 강화할 가능성이 높음.
  • 데이터 및 컴퓨팅 자원 부족: OpenAI, Google과 비교해 데이터 확보 및 GPU 자원에서 불리한 위치.
  • 기술적 격차 및 신뢰도 문제: AI 모델의 장기적인 성능 검증과 글로벌 시장 신뢰 확보가 필요.
    • 미국 애널리스트 진 먼스터는 "챗봇 성능이 놀랍도록 뛰어난데 이 때문에 오히려 믿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라며 인지 부조화를 일으키고 있음;; (딥시크 설계자: 량원펑은 누구인가?)

7. 중국 정부의 AI 지원 정책

중국 정부는 DeepSeek과 같은 AI 스타트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주요 지원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정부 주도 AI 투자 펀드: 1,000억 위안(약 13.8조 원) 규모의 AI 관련 펀드 조성
  • 컴퓨팅 바우처 지원: AI 스타트업이 대형 데이터센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AI 연구 및 인재 육성: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여 AI 연구개발을 촉진 
  • AI 혁신 클러스터 구축: AI 기술 협력을 위한 산업 생태계를 조성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